① 브라우저는 URL을 해독하여 리퀘스트 메시지를 만든다.
본 글에서는 URL이 http://로 시작하는 경우를 다룬다.
따라서 http://~~ 주소를 입력하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서버에 엑세스하는데
HTTP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리퀘스트 메시지를 보내고 응답 메시지를 받는다는 개념의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는 URL에 따른 리퀘스트 메시지를 만들어, 웹 서버에 보낸다.
웹 서버는 받은 리퀘스트 메시지( = 메소드 + URI )를 통해 웹 서버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 수 있다.
② IP주소를 DNS서버에 조회한다.
브라우저가 리퀘스트 메시지를 만들지만, 이를 네트워크에 송출하는 기능은 없다.
이를 위해서 송출을 OS에 의뢰해야하는데, OS에 의뢰할 때는 도메인명이 아닌 IP주소를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브라우저는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DNS 서버를 조회하여 IP주소를 찾는다.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3. 케이블의 앞은 LAN 기기였다. (0) | 2023.07.25 |
---|---|
네트워크 - 2. TCP/IP의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만들어 보낸다. (0) | 2023.07.25 |
네트워크 - 0. 네트워크 원리 (0) | 2023.07.25 |
/작성 예정/ 7. 메모리 관리 (0) | 2023.03.16 |
/작성예정/ 6. Deadlock (교착상태) (0) | 2023.03.16 |